Surprise Me!

[아는기자]한일 관계 찬물 끼얹은 日…난감한 대통령실?

2023-03-28 54 Dailymotion

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아는 기자 아자, 정치부 조영민 기자 나왔습니다. <br><br>Q1. 일단 한일 회담은 치렀고요. 앞으로 굵직한 외교 이슈가 많은데 하나하나 쉽지가 않아요. 일본 문제부터 짚어보죠. 한일정상회담 성과가 있었다는게 우리 정부 설명이었는데요. 오늘 발표된 일본 교과서 보면 일본 정부가 뒤통수를 친 게 아니냐, 이런 말이 나오고 있습니다.<br> <br>오늘 일본이 공개한 초등학교 역사교과서 내용만 보면 한일정상회담에서 잘 지내자 해놓고 뒤돌아서서 뒤통수를 쳤다, 이렇게 볼 수도 있습니다. <br> <br>일제강점기 강제 징병에서 강제성을 희석시키는 내용을 담고, 독도를 자기네 땅이라고 역사 교과서에 기술했기 때문입니다. <br><br>Q2. 대통령실이 좀 난감한 상황이라고 해야할까요?<br> <br>전반적으로 보면 난감할 수밖에 없지요. <br> <br>과거사를 잘 풀자고 일본까지 갔는데 일본이 과거사를 다시 왜곡하고 나왔으니까요. <br><br>하지만 엄밀히 살펴보면 뒤통수를 제대로 쳤다, 이렇게 볼 수만은 없습니다. <br><br>이번 한일정상회담의 주요 이슈는 강제징용 문제였는데요. <br><br>오늘 공개된 역사교과서에서 강제징용 관련한 표현은 이전과 크게 바뀌지 않았기 때문입니다. <br><br>2019년 "강제적으로 끌려와서" 라는 표현이 이번 교과서에서는 "강제적으로 동원되어서"라고 기술됐습니다. <br><br>Q3. 독도 영유권 주장이나 강제징병과 관련한 기술은 분명 우리 납득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어요<br> <br>맞습니다. <br> <br>강제징용에 대해서는 손을 덜 댔지만 대신 강제 징병에 있어 강제성을 희석시키며 왜곡을 시도했고, 독도 영유권을 줄기차게 주장하고 있기 때문입니다. <br><br>2019년 "징병당했다"는 표현은 "참여하게 되었다"라거나 "병사가 된 조선의 젊은이들"이란 표현이 "지원해서 병사가 된 조선의 젊은이들"처럼 자발적 지원인냥 기술한 부분이 있는 것이죠.<br> <br>대통령실은 일본의 교과서 이슈는 이번 한일 정상회담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것이다. <br><br>이렇게 설명하며 확대 해석을 경계하는 분위기입니다. <br><br>Q4. 다음달 이제 미국 국빈 방문도 예정돼 있습니다. 미국과의 관계에서도 외교 문제가 쉽지가 않은 것 같아요?<br> <br>미국과의 현안은 반도체인데요. <br> <br>현지시간으로 어제 미국 정부는 미국에 공장을 둔 우리 반도체 기업이 제출해야 할 구체적인 자료 목록을 확정지었습니다. <br> <br>우려한대로 영업기밀까지 제출하라고 요구했는데요. <br><br>윤석열 대통령, 4월말 미국 방문에서 우리 기업의 영업기밀을 지켜내야 하는 숙제를 안고 있습니다. <br><br>Q5. 외교적으로 이렇게 녹록치 않은 상황의 연속인데, 정작 대통령실 외교안보라인이 줄줄이 사퇴했어요?<br> <br>대통령의 해외 순방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의전비서관과 외교비서관이 방일과 방미를 앞두고 줄줄이 나갔습니다. <br> <br>심지어 김성한 국가안보실장의 교체 가능성까지 나오고 있습니다. <br><br>Q6. 외교라인의 줄줄이 사퇴, 배경이 있을 것 아니겠습니까?<br> <br>취재를 종합해보면은요. <br> <br>미국 방문을 앞두고 한미 정상 부부간 행사 조율 과정에서 외교안보 라인 인사들이 진행 상황에 대한 보고와 대처를 제대로 하지 못했다는 이유에서 교체된 것으로 보입니다. <br> <br>백악관 측에서 블랙핑크 같은 한국의 대중 가수와 레이디 가가 같은 미국 가수가 함께하는 만찬 행사를 제안했는데 이에 대한 보고와 대응이 제 때 이뤄지지 못했다는 겁니다. <br> <br>대통령과 여권 관계자들 설명을 종합하면 뒤늦게 대통령에게 이런 사실이 보고됐고, 김성한 실장을 비롯해 의전비서관, 외교비서관 등이 질책을 받은 것으로 보입니다. <br><br>Q7. 김성한 국가 안보실장의 교체설까지 번지는 분이기죠?<br> <br>대통령실 안팎에는 이번 질책 과정에서 "친구도 예외는 없다" 이런 말이 돌았습니다. <br> <br>대광초 동창인 김성한 국가안보실장도 교체 대상이 될 수 있다는 얘기인데요.<br> <br>대통령실은 일단 경질 가능성에는 선을 긋고 있습니다. <br><br>하지만 미국 순방 이후 김 실장을 포함해 외교안보 라인에 대한 물갈이가 이뤄질 수 있다는 전망은 계속 나오고 있습니다.

Buy Now on CodeCanyon